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5G
- Ena
- ethena
- bitcoin
- BTCUSDT
- 매매일지
- 매매복기
- 차트분석
- 퀄컴
- 트럼프코인
- Square
- enausdt
- 비트코인 차트분석
- 재무제표
- trump
- Qualcomm
- 비트코인 매매일지
- 차트
- 비트코인분석
- 비트코인차트
- 스퀘어
- ETHUSDT
- trumpusdt
- 비트코인
- 에테나
- QCOM
- USDT
- BTC
- 트럼프
- 이더리움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54)
스테디 바이어

안녕하세요 토미토입니다. 비트코인 차트분석 시작해볼게요. 급등과 급락이 연이어 나왔었네요. 현재 한 번 더 하락이 오면 잡을 준비를 해도 좋을 것 같습니다. (내려오는 파동의 모양을 주시해서 급락하면 피하는게 좋습니다.) 조금 더 작은 프레임으로 보겠습니다. 올라간 조정파동은 결국 abc 형태가 되었고, 그 다음 내려오는 첫번째 파동이 임펄스 형태를 띠고 있습니다. 이 말은 즉, 작은 파동의 조정 후 한 번 더 비슷하거나 큰 하락이 있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를 주시해서 타점을 들어가면 좋을 것 같습니다. 그러나 현재 3파로 보이는 파동이 임펄스의 시작이 아직은 아닌 것 같아, 파동을 보며 매매해야할 것 같습니다. 이와 더불어 비트코인 선물 ETF 는 심사가 1월로 연장되었지만, 이더리움 선물 ETF ..

세세한 파동을 모두 손쉽게 예측할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요. 시간 기준으로 큰 프레임부터 작은 프레임으로 들어가보며 앞으로의 파동을 예측해봅시다. 1일봉 올라간 ABC 파동에 비해 조정이 짧게 내려왔습니다. 618을 겨우 걸쳤다가 다시 반등했습니다. 이를 통해 우리는 반등 후 다시 한 번더 하락이 있을 수 있음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 4시간봉 상승 다이버전스 후 조정파동은 현재 절묘하게 382 부근에 도달했습니다. 이를 소파동 A 파동이라고 하면, 현재 B파 진행 후 C파가 0.5, 618 까지 올라갈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한 번 더 저점을 돌파하고 반등하기에는 쉽지 않아보입니다. 그러기엔 상승 다이버전스가 생길 가능성이 적기 때문이죠. 큰 그림은 일단 이렇게 봅시다. 30분봉 현재 0.5, 382 ..

급격한 하락이 있다가 반등이 찾아왔습니다. 파월의 매파적 발언도 어느정도 영향이 있는 것 같습니다. "적절하다고 판단할 경우 우리는 금리를 추가로 올릴 준비가 돼 있다" 라는 발언과 함께 올해 말 금리를 5.6% 정도로 예측했기 때문입니다. (현재 5.5%) 단기적으로 고점을 다시 넘겨서 올라갈 가능성보다, 다시 한 번 내려갈 가능성을 크게 보고 있습니다. 왜냐하면 618 조정까지 밖에 오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상승한 전파동 대비 이번 파동의 조정이 짧아 보이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언제 다시 하락하게 될까요? 피보 매물대와 짧은 프레임의 다이버전스 시그널을 기다려보면 좋겠습니다. 매물대를 보았을 때 첫번째로 382 ~ 0.5 사이 지점에서 숏자리를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물론 올라온 파동을 봐야겠..

예상하기가 쉽지 않은 요즘입니다. 하지만, 오늘도 차트의 흐름을 보고 앞으로의 횡보를 예측해봅시다. 이더리움을 먼저봅시다. 보기좋게 일봉 상다가 걸려있습니다. 382 부근까지 내려왔고, 근처에 약한 매물대가 있어 반등확률이 보입니다. 여기서 추세가 꺾여 완전 상승 추세로 올라갈 것인가, 아니면 한 번 더 내려와서 1d 상 더블 상다를 만들면서 올라갈 것이냐. 그것까지 예측하기는 어려워 보입니다. 어쨌든 이 다이버전스와 하단 추세선을 지지해준다면, 앞으로 큰 추세 전환이 기다리고 있을 텐데요. 길게 스윙으로 먹으시려는 분들은 집중하여 지켜볼만한 자리라고 생각합니다. 비트코인을 보겠습니다. 비트는 1d 상다가 나온 후 추세전환되며 10% 정도나 크게 상승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단기간의 조정이 확실히 필요..

차트는 매일마다 분석이 바뀔 수 있습니다. 그 때 그 때 나오는 파동마다 관점이 바뀌기 때문입니다. 지금의 차트는 예쁜 모양의 파동이 나오지 않았습니다. B 파가 너무 짧다는 생각이 듭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적절해보이는 다른 카운팅도 크게 없습니다. 혹시 있다면 댓글로 말씀해주세요. 상승이 있다면 적당한 조정을 주고 다시 올라가야 하거늘, 스물스물 올라가는 모습만 보여주세요. 하나 찾은 모양이 있다면 라이징웻지 입니다. 4h 봉 기준으로 더블 하락다이버전스가 나타날 수 있을 자리인 것 같습니다. 단기적으로는 이 부근을 유심히 지켜볼 예정입니다. 반면 이더는 618의 조정까지 내려오고 다시 올라가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618도 짧아 보이지만, 786 부근까지밖에 내려오지 않은 비트와는 조금 다른 모습입니다..

2일 전에 했던 분석이 실패로 돌아갔습니다. 약간의 하락은 있었으나 곧, 라이징웻지를 뚫고 급등하는 장면이 나왔습니다. 1시간봉으로 보았을 때, 임펄스5파의 가능성을 크게 보고 있습니다. 단 의심이 가는 점은 2파 하락이 너무 짧게 나왔다는 것. 피보나치 618로 찍지 못한 채, 786 살짝 아래로만 닿았습니다. 이는 현재 장세가 완전 bullish 하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오는 19~20일에 FOMC 회의가 있는데, 금리동결을 예상하고 기대하는 분위기가 반영된 것일 수도 있겠습니다. 자세한 것은 더 지켜봐야 알겠지만 롱을 놓쳤다면 현재 트레이딩 관점에서 할 수 있는일은 관망입니다. [+ 과거 차트와 비교] 과거 차트와 비슷한 모양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락 다이버전스 발생시 숏 진입하면 단기 이익을 ..

주말. 토요일입니다. 움직임이 활발하지는 못합니다. 크게 본 관점은 ABC 상승 후, 피보나치 0.5까지 하락입니다. 라이징웻지를 예상했지만 웻지의 상단 추세선까지는 닿지 않고 떨어진 모습입니다. 그래서 그냥 일반적인 C파가 상승했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현재 하락 A파가 진행이 끝나고 B파가 반등 진행중입니다. 반등 B파의 도달 예상 지점은 618 부근이며, 이는 두텁께 쌓인 매물대의 위치와 동일합니다. 작게 본 관점은 아래와 같습니다. A파가 명확한 임펄스 5파로 나와준 반면, C파는 임펄스로 보기가 어렵습니다. ABC (5-3-5) 파동만 남았다는 전제하에 C파의 라이징 웻지를 예상해 볼 수 있습니다. 단기적으로는 1m, 5m 프레임도 확인하면서 추세선 사이에 파동이 존재할 수 있는지 모니터링이 필..

숏 진입 근거 - 상승 추세 채널이 보이고, 차트가 이 채널을 이탈할 자리에 있음. - A파가 임펄스가 아니기 때문에, 더 이상 추가 상승은 어렵다고 판단 - C파 소파동에 하락 다이버전스가 보임 경과 한 번 더 반등이 있어서 올라오는 것 아닌가 의심이 되긴 했지만, 고점에서 손절라인을 잡아놨기 때문에 버텼고 이 후 아래로 쭉 하락했다. 매물대가 있는 곳에서 반익절 후 관망. 손익비 관점으로 봐선 현물은 롱을 잡기 좋은 포지션이다. 만약 손해를 보더라도, 손절라인이 짧다.

지난 차트 분석 - 엔딩다이어고널을 예상했으나, 그러지 않았다. - 한 번의 파동이 남았는데, 끝까지 그려지기 전에 중간에 하단 추세선을 깨고 나왔다. 현재 차트 분석 - ABC, 상다 외에는 딱히 보이지 않는다. - 나스닥은 저점을 갱신하고 계속 하방으로 내려갈 것 같은 기세다. - 그러나 비트코인은 저점을 이탈하지는 않으면서, 상대적으로 적은 변동으로 횡보중이다. 이는 바닥을 다지고 상승하는 차트일 수 있다.

여전히 포지션 진입하지 못하고 있다. 임펄스같아 보이지는 않지만, 그렇다고 ABC 는 더더욱 아닌것 같아서 억지로라도 파동카운팅을 해보았다. 임펄스 확률이 낮아보이는 이유 - 1파가 리딩 다이어고널 - 2파가 짧음 (소반등없이 뚝 떨어짐) - 3-1파를 또 리딩 다이어고널로 해석해야함 - 5파는 임펄스에서 조금 찌그러질 수 있다고 가정. 하지만, 가장 임펄스 같았던 부분은 3-3, 3-5 의 하락 다이버전스와 이어서 3파-5파로 이어지는 또 한번의 하락다이버전스이다. ABC 라고 해석하면 이부분을 익스펜딩 엔딩다이어고널이라고 해석할 수도 있을 듯하다. 조심스럽게 추측해보는 앞으로의 흐름 일단 A점은 넘겼으므로, 크게 ABC 임을 알 수 있다. 앞으로 어떻게 흘러갈지는 모르겠지만 1:1 extension ..